개정판에서는 초판 총 3부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던 것을 총 3부 11장으로 재편하였다. 1부는 영상영화치료의 기본 이해로, 영화치료(1장) 및 사진치료(2장)의 개요와 주요 상담이론(3장)으로 구성하고, 영화치료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보다 충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2부는 영상영화치료의 접근법으로, 초판의 기본 틀을 유지하여 지시적 접근(4장), 정화적 접근(5장), 연상적 접근(6장)으로 구성하되, 최신 영화들을 보강하여 실제 영화치료를 경험할 수 있는 사례와 활동들을 보다 풍성하게 담았다. 마지막으로 3부 영상영화치료의 실제에서는 영화치료의 과정(7장)과 사진치료의 과정(8장)에 대해 안내하고, 이후 장에서 대표적인 상담영역별로 아동 · 청소년 상담(9장), 여성 · 가족 상담(10장), 노인상담(11장)의 실제 적용사례들을 소개하는 것으로 편성하였다. 또한 이번 개정판에서는 각 장에서 언급된 주요 영화들의 활용가이드를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부록에 수록된 총 30편의 영화 활용가이드는 영화치료를 처음 접하는 예비 영상영화심리상담사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영화치료를 적용하고자 하는 상담사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