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놀로지의 탄생 (상)

테크놀로지의 탄생 (상)

  • 자 :조민웅
  • 출판사 :제논북스
  • 출판년 :2016-06-08
  • 공급사 :(주)북큐브네트웍스 (2017-03-31)
  • 대출 0/5 예약 0 누적대출 1 추천 0
  • 지원단말기 :PC/스마트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 신고하기
  • 대출하기 미리보기 추천하기 찜하기

우리의 일상 곳곳에 ‘기술’이 존재한다



흔히 기술, 혹은 테크놀로지라고 하면 우리의 일상과 다소 동떨어져있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은 ‘기술로 점철이 되어 있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눈을 뜨자마자 보게 되는 시계에서부터 샤워를 하는 순간에도, 그리고 교통수단을 통해 출근을 하는 과정과 일을 하는 모든 과정에, 심지어 저녁 때 친구들과 술을 먹을 때에도 인류가 만들어온 수많은 기술들이 속속들이 존재한다.



인간은 기술에 의해서 문명을 발전시켰고, 문명은 다시 인간을 기술개발의 길로 독려했다. 기술을 안다는 것은 곧 인간을 아는 것이고, 인간을 알기 위해서는 기술이 걸어온 길을 파악해야 한다. 특히 과거의 기술들이 발전되어온 역사를 안다는 것은 곧 수많은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과정을 안다는 것이고, 더불어 앞으로 우리가 가져야할 창의성이 어떤 것인지도 알게 해준다. 과거를 알면 미래가 보이는 법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인류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던 총 14가지의 기술을 살펴보고 있다. 하나같이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도 하더라도 상식적으로 알아두면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조금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 … 카메라 기술의 역사는 그 어떤 기술의 역사보다도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미 기원전에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라고 하는 가장 기본적인 카메라의 원리가 세상에 알려졌기 때문이다. 어둡게 한 방에 작은 구멍을 내게 되면 바깥의 실제 모습이 거꾸로 비치게 된다.



라틴어로 ‘어두운 방’을 뜻하는 ‘옵스큐라’의 원리는 이후에 렌즈의 기본원리가 되면서 본격적인 광학카메라를 만들어내는 시초가 되었다. 특히 이렇게 거꾸로 맺힌 상을 ‘정착’시키면 그것이 곧바로 ‘사진’이 된다는 점에서 카메라의 원리는 일찌감치 발견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원리가 발견되었다고 그것이 곧 실질적인 결과물로 나오는 것은 아니다. 과연 그 영상을 어떻게 ‘정착’시키냐의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최초로 성공시킨 사람이 바로 프랑스에서 태어난 조셉 니세포르 니엡스(Joseph Nicephore Niepce)였다. 그는 원래 형 클로드 니엡스와 함께 열기 엔진의 특허를 얻고 석판술을 연구하던 공학자이기도 했다.



● … 에디슨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 1856~1943)는 어떨까? 과학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거의 알기 힘든 인물이다. 하지만 그는 당대의 에디슨에 비견할 만한 뛰어난 과학자, 발명가로 알려져 있으며 공학도들 사이에서는 ‘천재’라는 한마디로 정의된다. 전기의 마술사, 발명의 천재, 뉴욕의 마술사 등등 그에 대한 수식어만으로도 뭔가 대단한 인물임을 직감할 수 있게 한다.



그가 라디오의 역사에서 기여를 했던 것은 1894년 세계 최초로 무선통신을 실현시켰기 때문이다. 라디오 역시 이러한 무선통신에 기반한다는 점에서 니콜라 테슬라는 라디오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 재미있는 사실은 그는 결벽증 환자였다는 점이다.



호텔의 식당에서 밥을 먹으려고 하면 테이블 위에 올려진 냅킨으로 자신이 직접 식기를 닦기도 했다. 그것도 딱 18장의 냅킨만을 쓴다. 3이라는 숫자에 엄청나게 집착했기 때문에 6X3=18로 딱 떨어지는 숫자의 냅킨만 썼다는 이야기다.



무선통신기술만 있다고 해서 곧 대중적인 라디오가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라디오는 사람의 말과 음악 소리를 일종의 전기 신호를 바꾸어 송출을 해야 한다. 이 분야에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은 ‘라디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미국의 드포레스트(Lee DeForest)이다.



● … 과거 인체 내부를 찍는 기술이 없었을 때의 시술 방법은 끔찍할 수밖에 없었다. 칼로 찢고 하나하나 눈으로 확인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마취술도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상태였으니 그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최소한 X레이가 발명되기 전까지 이러한 상황은 계속됐고, 인체 내부의 모습은 찢어서 살펴보기 전까지 그 누구도 알 수 없는 짙은 안개 속의 풍경과 비슷했다. 그런데 이러한 안개가 훤히 걷히는 대발견이 이뤄졌다. 1895년 11월 8일, 독일의 물리학자였던 빌헬름 뢴트겐 박사는 금요일 오후에 진공방전관으로 실험을 하다 우연히 X선을 발견했다.



물질을 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장이나 자기장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던 탓에 그 정체를 알 수 없어 ‘X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새로운 발견에 흥분한 그는 그 후 몇 주간을 실험에 몰두하다 최종적으로 12월에 논문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자신의 아내의 손을 직접 찍은 손을 공개하자 많은 과학자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이제 X선만 있다면 인체가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를 훤히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활용성이 뛰어난 덕분에 이 X선의 발견이 알려진지 채 2개월도 되지 않아 의학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술에 취한 한 선원의 등에 칼 조각이 꽂혀있었지만 구체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힘들었다.
지원단말기

PC : Window 7 OS 이상

스마트기기 : IOS 8.0 이상, Android 4.1 이상
  (play store 또는 app store를 통해 이용 가능)

전용단말기 : B-815, B-612만 지원 됩니다.
★찜 하기를 선택하면 ‘찜 한 도서’ 목록만 추려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