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와 대한민국의 소통

세월호와 대한민국의 소통

  • 자 :김왕근
  • 출판사 :미래를소유한사람들
  • 출판년 :2015-08-06
  • 공급사 :(주)북큐브네트웍스 (2017-04-13)
  • 대출 0/5 예약 0 누적대출 0 추천 0
  • 지원단말기 :PC/스마트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 신고하기
  • 대출하기 미리보기 추천하기 찜하기

세월호를 통해 본 대한민국의 ‘소통’



2014년 4월 16일, 안산 단원고 학생 등 470여 명이 탑승한 선박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해 300여 명이 사망한 사건은 대한민국 역사상 초유의 일이었다. 아무 죄 없는 학생들이 침몰하는 배에서 “움직이지 말라”는 어른들의 명령에 따르다가 참담하게 죽어갔다. 국민들은 꿈을 채 피워보지도 못한 젊은 학생들이 눈앞에서 죽어가는 것을 뻔히 보았고, 죽음의 공포와 안타까움, 구원의 손길이 오지 않는 데 대한 절망을 고스란히 함께 느꼈다. 이 절망은 곧바로 대한민국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는 에너지로 바뀌었다. ‘대한민국은 세월호 이전과 세월호 이후로 구분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세월호’가 대한민국에 던진 질문은 ‘우리 아이들이 왜 죽어야했는가’였다. 세월호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곧 대한민국의 모순을 치유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한민국의 주역들이 서로간의 소통을 유기적이고 원활하게 해야 했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 앞에서 대통령을 위시한 여당, 야당, 언론, 일반국민 및 네티즌들은 모두 소통에 허점을 드러냈다. 처음에는 중심을 잘 잡아가던 세월호 유가족마저 나중에는 흔들렸다.

이처럼 세월호는 대한민국에 위기관리 시스템이 없음을 드러낸 것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소통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더 큰 문제점을 드러냈다.

세월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통이 필요하고 소통에는 필연적으로 갈등이 동반되므로 갈등은 불가피하다. 문제는 그 갈등 중에 세월호가 제기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도출하기 위한 본질적인 갈등은 많지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 소통의 당사자들은 갈등을 하면서 끊임없이 문제의 본질로 돌아가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그런 노력은 없이 그저 갈등의 재생산과 증폭에만 기여한 사례들이 많았다.

세월호는 대한민국에 ‘재난 관리 시스템’만이 아니라 ‘소통 시스템’도 새로 구축돼야 하며 대한민국이 전체적으로 ‘소통의 기술’을 익혀야 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세월호 소통의 MVP는 ‘박영선’



‘세월호 특별법’을 위해서 가장 헌신적이고 효율적으로 소통에 나선 사람은 과연 누굴까? 특히 상대의 말을 경청하려고 노력한 사람은 누구일까?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필자가 MVP로 꼽은 인물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전 비대위원장 박영선 의원이다.

박영선 의원은 ‘상처받은 영혼’들인 유가족들과 대화하면서 동시에 여당과도 대화했다. 비록 이 소통 과정이 매끄럽진 않았지만, 세월호가 우리에게 준 질문의 의미를 깊이 생각하면서 그에 합당한 법안을 마련하는 데 가장 열심히 노력했다. 무엇보다 새민련의 상대인 새누리당을 ‘파트너’로 생각하고 협상의 끈을 놓지 않았다. 물론 당내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 미약했고, 그래서 소통의 진행을 방해한 점을 지적하자면 역으로 ‘가장 비난받아 마땅한 인물’로 지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박영선의 문제라기보다는 당으로서의 새민련의 문제인 측면이 컸다.

지원단말기

PC : Window 7 OS 이상

스마트기기 : IOS 8.0 이상, Android 4.1 이상
  (play store 또는 app store를 통해 이용 가능)

전용단말기 : B-815, B-612만 지원 됩니다.
★찜 하기를 선택하면 ‘찜 한 도서’ 목록만 추려서 볼 수 있습니다.